본문 바로가기

리뷰/애니 리뷰

『애니』슈타인즈 게이트 (Steins;Gate) 리뷰

『작품 정보』

제목: Steins;Gate (シュタインズ・ゲート/ 슈타인즈 게이트)

원작: 5pb. / Nitroplus
애니메이션 제작: WHITE FOX
감독: 사토 타쿠야, 하마자키 히로시
캐릭터 디자인: 사카이 큐타
방영정보: 일본 TVS (2011년 4월 5일~2011년 9월 13일 방송종료)
TV 애니메이션 공식 홈페이지: http://steinsgate.tv/
슈타인즈 게이트 공식 홈페이지: http://steinsgate.jp/

『 OP/ED 』


OP. Hacking to the Gate / 노래: 이토 카나코 (いとかなこ)


ED. 각인된 12가지 맹약 (刻司ル十二ノ盟約) / 노래: 판타즘 (ファンタズム) FES 성우 - 사카키바라 유이 (榊原ゆい)


『줄거리』

대학생인 오카베 린타로(자칭 호오인 쿄우마)는 평소 자신을 '매드 사이언 티스트'라고 하며 알수없는 언동을 일삼는 중2병 청년이다. 그는 아키하바라의 한 건물 2층에서 소꿉친구인 시이나 마유리와 동창인 하시다 이타루와 함께「미래 가제트 연구소」설립하여 알 수 없는 이상한 발명품을 만들어 내는 일상을 보낸다.

그러던 어느날 오카베 린타로는
시이나 마유리와 함께 라디오 회관에서 열리는 나카바치 박사의 타임머신 강연을 보러 간다. 그는 나카바치 박사의 이론을 보고 항의 하는데 한 소녀가 와서 그를 밖으로 끌어낸다. (그 소녀는 마키세 크리스로 사이언스지에 실린만큼 천재적인 소녀이다.) "아까 제게 무슨 말을 하려고 했죠? 심각한 얼굴을 하고서…"라는 알 수 없는 얘기를 한다.

잠시후 윗층에서 이상한 비명소리가 들려 올라가 보자 마키세 크리스가 누군가에게 찔려 쓰러져 있는 모습을 보게 된다. 하시다 이타루에게 이 사실을 알리려고 문자를 보내는 순간 아키하 바라에 있던 사람들이 다 사라지는 이상한 현상이 발생한다. 더욱 이상한건 죽은줄 알았던 마키세 크리스가 살아 있는 것이다. 그런데 그녀는 자신이 찔린 기억조차 없다고 하는데…

『예고편』



『매드무비』


제목: Steins;gate×Hello,good-bye OP풍으로
노래: Hello,good-bye OP - Good-bye crisis
출처: http://www.nicovideo.jp/watch/sm14466418

『감상평』


포기하지 않는 끈기
슈타인즈 게이트의 주인공 오카베 린타로는 딜레마에 빠진 나약한 구세주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무한히 박복되는 상황…. 어떻게든 극복하려 발버둥쳐 보지만 자신의 힘으론 어쩔수 없는 상황…. 마치 세계가 불가항력의 어떤 의지가 있어, 자신을 방해하는 듯한 상황을 보여 줍니다. 반복되는 상황 속에서 오카베 린타로는 심연과도 같은 고독과 절망감을 느끼며 내면적으로 성장을하며 동시며 상처를 입어 갑니다. 스스로의 경솔함과 어리석음 그리고 나약함에 치를떨며 어떻게든 상황을 극복하려 하지만, 뫼비우스의 띠에 갇혀 버린듯한 상황은 변하지 않습니다. 그런 그때 오카베 린타로에게 구원의 손길을 뻗어준 것이 랩 멤버. 바로 동료입니다. 그들이 있었기에 오카베 린타로는 자신만의 고독한 싸움을 끝내고 포기하지 않고 싸움을 지속한 원동력이 아닐까 합니다.

살다보면 누구나 포기하고 싶을때가 있습니다.
계속되는 실패…, 불투명한 미래…, 암담한 현실…, 그리고 자신이 한계라고 느끼는 순간…. 그럴때마다 여러분도 주위를 한 번 살펴보세요. 슈타인즈 게이트의 주인공 오카베 린타로 주변에는 동료들이 있었듯이 여러분의 주변에는 가족, 친구, 선생님이 있습니다. 여러분이 고민하고 있는 응어리를 털어놓는다면 옆에있는 분들은 여러분들에게 힘이 되어 주실 겁니다. 이 힘들이 모여 만든 끈기! 포기하지 않는 것이야 말로 천재성을 뛰어 넘는 재능이 아닐까 합니다.

행복의 문 하나가 닫히면 다른 문이 열린다. 하지만 우리는 닫힌 문을 너무 오래 바라보느라 열린 문을 보지 못한다. - 헬렌켈러

*아래 글은 네타가 있으니 보실분만 클릭하셔서 보세요.

공상과학이나 타임머신등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에게 추천하는 애니메이션입니다!!
ps. 이것은 이과생들을 공부하게 만드는 애니메이션....

*참고) ‘슈타인’의 명칭은 물리학자인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에서 따온 것입니다.